안녕하세요.
바이럴뷰입니다.
저는 18년차 평번한 직장인과 동시에 4년 차 투자자로 은퇴 전까지 든든한 노후 준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것을 달성하기위해 부동산 경매, 주식 투자에 대한 공부와 투자를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저와 같은 직장인들은 퇴직후의 노후에 대한 걱정이 많으실 겁니다. 윤택한 노후를 위해 지금부터 무언가는 해야 하는 건 생각은하고 있지만,
막상 실천하려하면 무엇부터 해야 할지 걱정이 많으실 겁니다.
오늘은 직장인이 안정된 노후 자금을 마련하려면 월급을 과연 어디에 넣어서 일을 시켜야 할지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통계청자료에 따르면 2022년 임금근로자 일자리 평균소득은 353만이고 중위소득은 267만원입니다.
또한 소득 구간별로 보면 150~250만 원 미만이 24.1%로 가장 많고, 250~350만 원 미만이 12.9% 순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반면 천만 원 이상의 고연봉자는 3.7%입니다. 이렇듯 자료와 같이 대부분의 평범한 직장인의 월급은 세후 200만 원에서 350만 원이라는 건데 이 정도의 월급을 받아서 꾸준히 꼬박꼬박 은행에 묻어 둔다고 과연 부자가 될 수 있을까요?
저는 절대 그럴 리 없다고 보는데요. 어떤 분은 이렇게 반문할 수도 있겠죠!! 월급도 오르니 오른 만큼 더 많이 저축을 하면 되지 않냐고요!!
그런데 회사의 연봉 인상이라는 게 불가상승률만큼만 인상되는 경우가 많고, 그마저도 회사 실적이 안 좋은 시기에는 동결이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는 거죠.
이렇게 작지만 소중한 저희의 월급은 과연 어디에 넣어두어야 저희에게 부를 안겨줄까요?
그건 바로 미국 주식에 넣어두는 겁니다. 이렇게 얘길 하면 미국주식 아무거나 사면되는 거냐?!라고 오해하실 수 있는데요. 정확히 말해 미국주식시장 전체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라입니다.
그러면 외 미국시장에 투자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주식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영상에서
더 많은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미국시장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1. 미국은 세계 최대 시장이자 가장 유동성이 높은 시장입니다.
미국 시장은 세계 시가총액의 40% 이상을 차고 있는 시장입니다. GDP 기준으로도 미국은 전 세계의 24%를 차지하고 있는 최대 경제 강국이자 최대 금융 시장입니다.
미국은 정치,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전 세계에서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것은 리스트를 최소 하는 것입니다.
또한, 미국 주식시장은 가장 유동성이 높은 시장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 거래소인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은 2023년 25조와, 21조 달러로 세계 1,2위 규모를 자랑합니다. 뉴욕증권거래소의 시가총액규모는 3,4위에 4배에서 5배 차이에 달하며
이들 거래소는 거래대금 세계 1,2위 자리를 지속 유지할 만큼 유동성이 풍부한 시장으로 기업들 역시 자금 조달 측면에서 유동성이 높은 미국시장 상장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우리가 알고 있는 알리바바, 바이두, 씨트립 등의 거대 중국 기업들이 있는데 이들 기업들이 미국에 상장한 이유로는 미국 시장이 상장 대기시간이 짧고,
규제가 덜해 해외 투자자들로 자금을 조달하기 상대적으로 쉽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요?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에 불과합니다.
1990년 이후 KOSPI 지수가 약 120% 상승하는 동안 S&P 500 지수는 약 740% 상승했습니다.
2. 좋은 기업들이 너무 많다
미국 기업들은 글로벌 1등이라는 것 이상으로 세계 기준을 만드는 기업들이 정말 많습니다.
4차 산업의 인공지능 전기차 빅테이터, 클라우드 컴퓨터, 에너지등 이런 시장을 미국 기업들이 대부분 리드하고 있습니다.
이렇듯이 미국에 대한 이미지 때문이 아니라 좋은 기업이 미국에 있보니 미국에 투자를 해야 하는 거죠.
세계 시가총액기업 1위에서 10위까지의 기업들을 보면 2곳을 제외한 모든 기업이 미국인걸 알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 등 저희가 모두 아는 기업들이 이죠!
세계 기업 시가 총액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정확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미국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세 번째는 달러 보유 효과입니다.
미국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세 번째는 달러 보유 효과입니다.
미국 주식을 직구한다는 건 달러 자산을 보유하는 효과와 같습니다.
달러는 금 와함께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힙니다.
불확실성이 고조될 때 달러통화는 강세를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간의 상관관계는 부 즉(-)의 관계를 갖습니다. 이를 반영해 한국주식시장이 크게 하락할 때 환율은 상승하게 된다면, 보유한 달러 자산을 원화로 환산한 가치는 높아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미국 와 한국주식시장이 동시에 크게 하락하는 가운데 환율이 상승하는 환경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투자자 a 씨는 환율 1,000원일 때 원화 3천만 원과 3만 달러를 각각 한국과 미국 주식에 투자를 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주식 시장이 평균 50%씩 하락했다면 투자자 A 씨가 보유한 주식가치는 1500만 과 15,000달러 일 겁니다. 이때 한국시장에서 외국인의 자금인출이 늘어나고 기축통화인 달러 보유 수요 증가가 맞물리며
환율은 상승 압력을 받게 됩니다. 환율이 1,500원까지 급등했던 2008년 금융위기 때라고 가정해본다면 투자자 a 씨의 한국주식투자 결과는 1500만원 이겠지만 미국주식에서는 이보다 50%나 높은 원화 2,250만원을 인출할 수 있을것입니다. 이렇듯이 미국주식시장에 투자한다는 것은 금융위기때 내 자산 하락을 방어해 주는 방패막 열 학을 해줄 가능성이 큰 겁니다.
4. 미국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네 번째는 결국 수익률입니다.
S&P500 지수와 KOSPI 지수의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미국 주식에 투자할 이유가 더욱 높아집니다. 1990년 1월 이후 S&P500 지수의 수익률은 약 73605를 기록하고 있는데, 같은 기간 KOSPI 지수 수익률은 117%에 불과합니다.
오늘은 미국주식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주식 투자, 지금이 적기일까? 2025년 전망과 전략 (1) | 2025.03.04 |
---|---|
테슬라 주식 전망 : 2025년 이후 주가 방향은? (2) | 2025.03.03 |
미국 주식 투자 시작 미니스탁 소수점 투자 (0) | 2025.02.17 |
주식 투자 입문 가이드: 초보자를 위한 기본 개념부터 실전 투자까 (0) | 2025.02.11 |
미국 반도체 EFT 투자 SOXX와 SMH의 비교 분석 (1) | 2024.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