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호우경보 폭우 피해 예방을 위한 행동수칙 및 대처방법 재난대비

by 바이럴 뷰 2023. 7. 12.
반응형

 

 

호우, 폭우에 대한 피해사례가 발생하는 여름철입니다. 짧은 시간, 좁은 지역에 비가 내리는 현상인 집중호우가 지속되면 산사태, 침수, 건물파손 및 정전 등의 사고로 이어져 우리의 재산은 물론 인명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거주 및 활동지역에 호우,폭우 특보가 발생하면 TV와 인터넷, 모바일 등 매체를 통해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하며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1. 발령기준으로 알아보는 호우주의보 VS 호우경보

1) 호우주의보

3시간 강우량이 60mm이상 예상되거나 12시간 강우량이 110mm이상 예상될 때 입니다.

 

2) 호우경보

3시간 강우량이 90mm이상 예상되거나 12시간 강우량이 180mm이상 예상될 때 입니다.

 

 

기상특보현황 자세하게 알고 안전하게 대피해야 합니다.

위의 기상청 날씨누리 사이트에 기상특보현황이 자세하게 안내되고 있습니다. 

 

 

 

2. 집중호우 발생시 이렇게 대처하세요.

1) 계단이 침수될 때

신속히 상황을 파악한 뒤 119에 신고하고 수심이 무릎 이하일 경우 신속하게 탈출합니다.슬리퍼, 하이힐 등의 경우 신발을 벗고 아무것도 신지 않은 맨발로 탈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이때 운동화 이외 신발은 위험합니다.

 

-계단침수시 탈출 가능 수심

수심 신체위치 남자 탈출 여부 여자 탈출 여보
30cm 정강이 가능 가능
40cm 무릎 위  가능 가능(하이힐 착용시 불가능)
50cm 무릎 위 불가능 불가능

 

 

2) 집이나 건물 안이 침수 될 때

가장 먼저 전기전원을 모두 차단하고 수위가 30cm이하 (종아리 아래)일 시 신속하게 문을 열고 탈출하세요.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다면 신속히 119에 신고한 뒤 주변 사람들과 힘을 합쳐 대피하여야 합니다.

 

 

3) 외부 활동 중 하천이 범람할 때 

반드시 안전한 지대에 야영을 하고 대피 방송이 나오면 신속하게 대피하세요. 유속이 빠르고 물이 무릎까지 찰 경우 이동하지 마히소 119 신고 등을 통해 안전을 확보 후 이동하여야 합니다.

 

 

 

3. 태풍과 호우 발생 시 행동 수칙

1) 하천급류

호우, 태풍 등으로 하천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하천 주변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2) 차량침수 

조금이라도 침수된 지하차도와 도로는 절대 지나가지않아야 합니다.

 

3) 강풍에 의한 낙하물

유리창 및 건물 간판 근처는 강풍에 의한 낙하물로 많은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강풍 발생시 공터나 건물 안으로 신속하게 대피하여야 합니다.

 

4) 산사태

산사태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산지 주변의 등산, 캠핑등의 야외활동은 자세하고 대피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5) 세월교, 교량 횡단

세월교나 소규모 교량이 물에 잠긴 경우 절대 건너려고 시도하지 않아야 합니다.

 

6) 물꼬

호우나 태풍 특포가 발효된 경우 물꼬를 보러 나가면 위험할 수 있으니 나가지 않도록 합니다.

 

4. 호우, 폭우 발생시 상세 행동요령

1) 과거에 발생했던 내 지역의 정보는 미리 확인하고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공유합니다.

- 내가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지역의 홍수, 침수(저지대), 산사태, 해일 등 재해위험 요인을 미리 확인합니다.

-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는 수시로 청소를 실시하고 비탈면, 옹벽, 축대 등이 위험할 경우 정비하거나 시,군,구청에 신고합니다.

 

2)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준비합니다.

- 기상특보나 홍수, 산사태 등 재난 예,경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TV, 라디오 등을 준비하고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 등을 미리 설치합니다.

 

3)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피방법 등에 대한 약속을 미리 정합니다.

-지역의 대피장소와 안전한 이동방법,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 국민재난안전포털 앱 등을 활용하여 알 수 있습니다. 

- 비상상황이 예견될 때에는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피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

-대피경로는 하천변, 산길, 전신주나 변압기 주변 등은 피하도록 합니다.

 

4)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하도록 합니다.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충전기, 휴대용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둡니다.

-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두고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약속을 정해둡니다.

 

5) 재난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비를 함께 합니다.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하고 대피장소, 대피경로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비합니다.

 

 

 

 

 

집중호우에 대한 안전수칙을 알아보았습니다. 호우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행동요령을 숙지하여 갑작스러운 상황이 왔을 때 안전하게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